-
척추전방전위증 증상, 치료법, 운동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11111 2025. 4. 21. 11:01
서론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은 척추의 한 마디(척추체)가 바로 아래 마디보다 앞으로 미끄러져 전방으로 전위된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해 허리 통증, 하지 방사통, 신경학적 증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적절한 진단과 치료, 운동 재활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문에서는 척추전방전위증의 정의와 분류, 주요 원인, 임상 증상, 진단 방법, 치료법(비수술적·수술적) 및 운동 요법을 체계적으로 살펴본다.
척추전방전위증의 정의 및 분류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체가 아래 척추체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이동 정도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한다.
- 1도: 전방 이동이 척추체 전면의 25% 이내
- 2도: 25~50%
- 3도: 50~75%
- 4도: 75~100%
전위가 100%를 초과하면 척추전방전위증이 아닌 전방탈구로 간주한다.
원발적 분류로는 선천성(발육 이상), 외상·종양·감염·급성 골절에 따른 요인성, 퇴행성, 그리고 스포츠 활동 중 반복 부담으로 발생하는 운동형(소위 엘리트 스포츠형) 등이 있다.
주요 원인
- 퇴행성 변화
나이가 들수록 디스크 높이가 줄고 후관절이 비후하면서 전위가 발생한다. - 이상 성장(선천성)
척추 마디 간 결합 부위 형성 이상 또는 천추관분열로 인한 불안정성. - 외상 및 과사용
추간판 및 후관절 경화, 반복적 충격(특히 체조·야구·게이트볼 등)으로 인대·관절 균열. - 척추관협착증 동반
퇴행성 협착으로 면적이 좁아지며 전위가 가속될 수 있다. - 유전적 소인
결합조직 약화, 인대 이완증으로 구조 안정성 저하.
임상 증상
- 요통: 허리 중앙부의 지속적 욱신거림 또는 예리한 통증.
- 방사통: 전방전위로 인접 신경근 압박 시 엉덩이→허벅지 뒤→종아리→발까지 뻗치는 신경통.
- 신경학적 이상: 다리 감각 저하·저림, 근력 약화, 반사 저하.
- 신경인성 파행: 장시간 보행 시 다리가 무겁고 통증이 심해 걸음을 멈춰야 호전.
- 운동 제한: 허리 과신전(뒤로 젖히기) 시 통증 악화, 굴곡 시 일부 완화.
- 기타: 드물게 배뇨·배변 장애, 하지 부종.
진단 방법
- 문진 및 신체검사
보행·자세 변화에 따른 증상 확인, 신경학적 검사(근력·감각·반사) - 영상 검사
- X‑ray: 전·측면 촬영으로 전위 정도·척추 정렬 확인
- 동적 X‑ray: 굴곡·신전 상태에서 전위 범위 변화 평가
- MRI: 신경근·디스크·연부조직 압박 확인
- CT: 골성 병변·후관절 상태 정밀 평가
- 전기진단 검사
EMG·NCV로 신경 손상 정도 판정
비수술적 치료법
– 약물 치료
- NSAIDs(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로 통증·염증 완화
- 근이완제(Idrocilamide 등)로 근경련 감소
- 신경병증성 통증 조절제(가바펜틴·프레가발린)
– 물리치료·도수치료
- 냉·열 요법: 초기 냉찜질, 이후 온찜질로 혈류 증가
- TENS: 경피적 전기 자극으로 통증 제어
- 초음파·레이저 치료: 조직 재생 촉진
- 도수치료(Manual therapy): 전문 치료사의 관절·근막 이완술
– 보조기 사용
- 허리 보조대로 과도한 굴곡·신전을 제한해 척추 정렬 유지
– 신경 차단 주사
- 경막외 스테로이드주사·선택적 신경근 차단술로 급성 통증 조절
– 생활습관 조절
- 과체중 시 체중 감량
- 무거운 물건 들 때 허리 굽히지 않고 다리 힘 이용
- 장시간 앉기·서기 피하고, 올바른 자세 유지
수술적 치료법
비수술적 치료 3~6개월 후 호전 없거나, 신경학적 결손(근력 약화·배뇨장애)이 있을 때 고려.
- 감압술(Decompression)
- 후궁 절제술(Laminectomy)로 신경 압박 해소
- 척추 유합술(Spinal Fusion)
- 전위된 척추체를 정복 후 나사·봉으로 고정, 골이식으로 유합 유도
- 미세 현미경 수술(Microendoscopic decompression)
- 절개 최소화, 회복 기간 단축
- 최소 침습 수술(MIS)
- 파이프 형태 접근로로 디스크 및 후관절 절개, 조직 손상 최소화
운동 방법(재활 운동 요법)
운동은 단계별로 진행하되, 통증이 심할 땐 전문의·물리치료사 지도하에 시행.
- 초기 안정화 운동(통증 조절 후)
- 허리 중립 자세 연습: 벽에 등을 대고 어깨·엉덩이·뒤꿈치가 일직선이 되도록 서기, 1분 유지 × 5회
- 복부 근력 강화(Transverse Abdominis Activation): 누워 무릎 세워 배에 힘 주고 숨 참기, 5초 유지 × 10회
- 코어 근력 강화 운동
- 브릿지(Bridge): 무릎 세운 상태로 엉덩이 들어 올려 엉덩이·허리 일직선 유지, 5초 유지 × 10회
- 데드 버그(Dead Bug): 누워 한쪽 팔·반대쪽 다리 들어 내려오기, 10회
- 플랭크(Plank): 팔꿈치·발끝 지지하며 20~30초 유지
- 유연성·스트레칭
- 햄스트링 스트레칭: 앉아 한쪽 다리 펴 상체 숙이기, 20초 × 3회
- 고관절 굴곡 스트레칭: 한쪽 무릎 가슴 쪽으로 당기기, 20초 × 3회
- 고양이-소 자세(Cat-Camel): 네 발 자세에서 허리 위아래로 부드럽게 움직이기, 5회
- 유산소 운동
- 걷기: 중립 자세로 10~20분 걷기, 통증 없이 가능한 속도 유지
- 수중 운동: 수영·물속 걷기로 허리 부담 최소화
- 균형 및 자세 교정
- 짐볼 앉기: 큰 볼 위에 앉아 자세 유지 연습, 1~2분
- 벽 스쿼트(Wall Squat): 벽에 등을 대고 무릎 45° 굽힘, 10초 유지 × 5회
일상생활 관리 및 예후
- 체중 관리: 1kg 감량 시 척추 부담 4배 감소
- 금연: 혈류 개선·조직 재생 촉진
- 적절한 수면 자세: 중간 경도의 매트리스 사용, 무릎 밑 작은 베개
- 정기적 스트레칭: 하루 2~3회 간단한 코어 및 허리 스트레칭
- 장시간 자세 유지 시 휴식: 30분마다 일어나 스트레칭
척추전방전위증은 단계와 원인에 따라 예후가 달라지나, 비수술적 치료와 꾸준한 재활로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이 가능하다. 수술 후에도 재활 운동 및 생활 관리가 중요하며, 조기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이 예후를 좌우한다.
'111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아산통 증상, 시기, 분유, 마사지 배앓이에 대해 알아보자 (1) 2025.04.22 투시도 제작, 외주 디자인(공간디자인)해드립니다. (2) 2025.04.21 피하지방 뜻, 빼는법, 운동법, 제거법에 대해 알아보자 (1) 2025.04.18 내장지방 빼는법, 레벨, 수치, 운동, 식단, 원인 (1) 2025.04.18 영화 "드라이브 인 타이페이" 찐 후기 및 리뷰 (내 별점은?) (2)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