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11
치아우식 뜻, 치료, 보험, 원인, 증상, 좋은 음식, 병원추천, 약추천
땅콩매니악
2025. 4. 28. 10:42
치아우식(Dental Caries)이란?
치아우식(齒牙蝕, dental caries)은 치아 표면의 경조직(법랑질·상아질)이 산에 의해 용해되어 서서히 구멍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충치를 의미하며, ‘치아에 생긴 작은 구멍(cavity)’이 점차 큰 손상으로 진행해 통증·감염·치아 상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치아우식의 원인
치아우식은 다요소 질환으로, 다음 요인이 복합 작용합니다:
- 구강 내 세균(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등): 탄수화물을 분해해 산을 생성, 법랑질 탈회(탈광화) 유발
- 식습관: 당분이 많은 간식·음료(탄산음료, 사탕) 섭취 빈도가 높으면 산 생성이 잦아져 우식 위험 증가
- 불충분한 구강 위생: 칫솔질·치실 사용 부실 시 플라그(plaque) 제거 안 돼 세균 번식 촉진
- 타액 분비 저하: 타액은 산 중화·무기질 재광화 기능; 건조증, 약물 부작용, 방사선 치료 등이 원인
- 치아 구조적 요인: 열구(chewing surface)에 홈이 많거나 치아 배열 불량으로 음식물 잔류
- 불충분한 불소 접촉: 불소는 법랑질을 강화하여 탈회를 억제하므로 결핍 시 우식률 상승
증상
초기에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지만, 진행되면서 다음 증상이 나타납니다:
- 감각 과민: 찬물·뜨거운 음식·단맛에 예민한 시린 통증
- 자발통(Spontaneous pain): 음식물과 무관하게 지속되는 통증
- 육안 소견: 흰색·갈색 반점, 구멍(pit)이 보임
- 진행 시 합병증: 치수염·치근단 농양으로 발열·심한 통증·부종
진단 방법
- 시진·타진: 육안 관찰과 탐침 검사로 우식 부위 확인
- 방사선 촬영(X-ray): 레진·금속 충전 이하, 식립된 보철물 주변 우식 탐지
- 레이저 플루오레센스: 초기 우식(화이트 스폿) 진단 활용
치료 방법
치아우식 치료는 우식 제거→결손부 복원이 원칙입니다:
- 불소 치료(불소 바니시·불소젤)
- 레진 충전(composite resin) – 경미~중등도 우식
- 아말감·금·세라믹 라이닝 – 중등도 이상, 크라운 전 단계
- 크라운(관상·금속·지르코니아) – 광범위 우식 또는 파절
- 근관치료(신경치료) 후 크라운 – 치수 손상 시
- 발치 및 임플란트/브릿지 – 치아 보존 불가 시
보험 적용 범위
대한민국 건강보험은 다음 진료 항목을 급여 대상으로 인정합니다:
- 레진·아말감 충전 (본인부담 30%)
- 근관치료 (본인부담 30~50%, 치수염 단계에 따라 차등)
- 크라운 제작 (레진·금속·지르코니아 크라운 각기 본인부담 50%)
- 발치 (단순·복잡 발치 본인부담 30%)
- 임플란트·보철(상악·하악 제한 건수 연 2개, 본인부담 50~70%)
치과 약 추천
- 국소 진통·마취제: 벤조카인(Benzocaine) 함유 치약·겔
- 항균 구강청결제: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스왑·워시
- 통증 완화제(경구): 아세트아미노펜(500 mg 1정, 4–6시간 간격), 이부프로펜(200–400 mg 4–6시간 간격)
- 불소 보조제: 불소 가글(0.05% NaF) 또는 고농도 불소 젤
예방을 위한 좋은 음식
- 치아 보호 식품: 유당·포도당이 적은 치즈·우유(타액 분비 촉진·칼슘 공급)
- 섬유질 많은 과일·채소: 사과·당근(기계적 세척 효과)
- 무설탕 껌: 잔사 제거·타액 분비 자극
- 녹차·홍차: 폴리페놀 항균 효과
- 물: 산 중화 및 잔사 제거
병원 추천
사용자님은 서울 서초구에 계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역 내 대표 치과병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대학교치과병원(관악구)
- 삼성서울병원 치과(강남구 일원동)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치과병원(서대문구)
- 이대목동병원 치과(양천구)
- 강남구 보건소 치과진료센터(본인부담 낮음)
필요하신 지역·전문 분야(임플란트·교정·소아치과 등)를 알려 주시면, 보다 맞춤형 추천이 가능합니다.
생활관리 및 구강위생
- 올바른 칫솔질: 하루 2회 이상, 2분간 원을 그리듯 부드럽게
- 치실·치간칫솔 사용: 치아 사이 플라그 제거
- 정기 검진·스케일링: 6개월마다 시행해 우식 조기 발견·예방
- 불소도포·치아실란트: 어린이·우식 취약 부위 예방
결론
치아우식은 흔하지만 예방이 가능한 만성 질환입니다. 일상적 구강위생 관리, 균형 잡힌 식습관, 불소 활용을 통해 우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우식이 의심되면 조기에 치과를 방문해 충전·크라운·근관치료 등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지역·진료 분야를 알려 주시면 최적의 치과병원을 추가로 추천해 드리겠습니다.